목록분류 전체보기 (2)
THE JINYA
0. 들어가며 우리 프로젝트의 목표는 실감나는 동화 서비스를 구현 하는 것.. 기존 동화 오디오북의 딱딱한 TTS에서, 문맥과 상황에 따라 적합한 TTS가 나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동감을 더하려면 인물의 상황에 맞는... 그니까 기쁜 장면에서는 밝은 목소리가 나오고 슬픈 장면에서는 어두운 목소리가 나와야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를 통해 이 장면이 어떤 감정인지 파악을 해야한다. 찾아 본 결과, 클로바에서 감성 분류를 지원해주는데, 좋고 나쁨 (+-)으로 분류가 가능했다. 하지만 동화는 아무래도 다양한 감정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두가지 분류는 적합하지 않아보여서 다시 서치를 했다. 그러다 발견한 것이 KoBert이다. 구글에서 개발한 언어모..
[오픈SW플랫폼 11주차 그룹 실습 과제-개발블로그 작성] 우리 팀이 잇화의 UI를 디자인할 때 가장 신박한 기능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홈 화면과 맛집 리스트 상단의 지도였다. 보통 지도 기능은, 네이버 지도같이 실제 지도 API를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가 잇화의 기본 테마를 생각할 때 중점적으로 뒀던 점이 심플함과 뽀짝함이었고, 이미 검색 기능을 비롯한 구현해야 할 여러 기능이 있는 상황에서 지도 API까지 삽입하면 심플함에서 벗어날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신촌, 정문, 후문, 아현, 교내로 학교 주변을 나누고 추상화시킨 지도를 구상했다. 각 영역을 클릭하면 해당 영역의 맛집 리스트로 이동시키고, UX를 위해 영역마다 호버링을 적용시키기로 했다. 사실 영역 모양이 사각형이었다면 그리 ..